python 아스키 코드 관련 함수 ord(), chr() 함수
1. ASCII Code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ASCII
ASCII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1972 프린터 사용 설명서에 개시된 아스키 코드 차트표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(영어: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, 또는 줄여서 ASCII( , 아스키)는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
ko.wikipedia.org
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로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.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,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초로 두고 있다.
수 많은 부호가 있지만 필자는 A인 65번과 a인 97번만 기억하고 있다. 대문자 알파벳과 소문자 알파벳이 제일 많이 사용된다. 또한 그 차이는 +-32이기 때문에 알파벳 두개만 외우고 나머지는 구글링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.
2. ord()
문자 하나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는 함수이다. 즉, ord() 함수 내 파라미터에 특정 문자 하나를 직접 넣거나 또는 특정 문자가 담겨있는 메모리를 가리키는 변수를 집어 넣으면 int 객체로 바뀌어 return 해준다.
a = 'a'
print(ord(a)) # 97이 출력 될 것임
3. chr()
아스키 코드를 문자로 반환하는 함수이다. 역시 chr() 내 파라미터를 int 형의 객체를 넣는다면 아스키 코드에 맞는 문자로 반환해준다.
a_number = 97
print(chr(a_number)) # 97 반환
4. 어따가 사용?!
python 알고리즘 문제인 '암호해독' 문제에서 사용한다. 해당 문제는 이진연산과 인코딩을 기반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꼭 인코딩과 디코딩 관련 함수인 ord()와 chr() 함수를 알아야 풀 수 있다.
눈떠보니 코딩 테스트 전날 - 인프런 | 학습 페이지
지식을 나누면 반드시 나에게 돌아옵니다. 인프런을 통해 나의 지식에 가치를 부여하세요....
www.inflearn.com
'개발언어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급 ( first-class ) 함수 / 클래스 (0) | 2023.11.05 |
---|---|
클로저 (Closure) (0) | 2023.11.05 |
python 이스케이프 시퀀스와 로우 스트링 (0) | 2022.02.22 |
python 주요 수치 연산 함수(abs(x), divmod(x, y), pow(x, y), math) (0) | 2022.02.20 |
import 한 module이나 package 경로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1.03.21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일급 ( first-class ) 함수 / 클래스
일급 ( first-class ) 함수 / 클래스
2023.11.05 -
클로저 (Closure)
클로저 (Closure)
2023.11.05 -
python 이스케이프 시퀀스와 로우 스트링
python 이스케이프 시퀀스와 로우 스트링
2022.02.22 -
python 주요 수치 연산 함수(abs(x), divmod(x, y), pow(x, y), math)
python 주요 수치 연산 함수(abs(x), divmod(x, y), pow(x, y), math)
2022.02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