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1.11.21] 우분투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고찰
https://storycompiler.tistory.com/44
우분투 리눅스 관련 공부를 수행중 사용자를 변경하거나 하나의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권한을 부여받는 su와 su - 에 대해 알아보겠다.
su는 substitute user (대리 유저)에 줄임말이다. 위와 같이 ubuntu 계정에서 root나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전환 할 때 사용한다.
만약 su 뒤에 변경하는 사용자 명을 적지 않고 아무것도 적지 않는다면 su root의 명령어로 인식하여 실행된다.
su -에서 -는 무엇일까? --login 또는 -l 의 줄임말이다. 즉 su --login root를 짧게 쓴 약어이다. su와 su-의 차이점은 환경 변수와 워킹 디렉토리에 대한 영향의 유무이다.
1. 환경변수 (Path)에 대한 차이
기본적인 os에 대한 환경변수는 그 사용자에 따라서 변경이 된다. 하지만 특정 사용자가 만든 환경변수(사용자 환경에서 만든 환경변수)는 su 명령어를 통해 다른 사용자로 접근한다면 그 환경변수의 세션은 끊기지 않아 환경변수가 유지되지만 su --login은 환경변수의 세션이 끊겨 default로 초기화된다.
$ export nouu=hyunje # 전역변수 nouu를 선언 및 할당
$ su # su로 root 계정 접근
# echo nouu #nouu 변수 출력
사용자 환경 변수 및 전역변수를 선언한 뒤 su로 로그인 결과 위와 같이 해당 결과가 잘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.
$ export nouu=choihyunje
$ su -
# echo $nouu
반면 su - 로 접근하여 해당 사용자 환경 변수를 출력했을 때 null 값이 나온다는 것을 볼 수 있다.
2. 현재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인 워킹 디렉토리의 변경 유무
$ pwd # 현재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 확인
$ su # su 명령어로 root 계정 접근
$ pwd # 현재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 확인 (이전 사용자가 위치한 그대로 있음)
$ exit # root 계정 나가기, 원래 계정으로 돌아옴
$ su - # su --login으로 root 계정 접근
$ pwd # 현재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 확인 (/root)
현재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니 /media 워킹 디렉토리에 있다. 이때 su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 계정에 접근을 한 뒤 다시 pwd를 쳐서 워킹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니 그대로 /media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. 하지만 그 아래에 명령을 보듯이 su - (su --list) 명령어를 쳐서 pwd를 확인하면 root 전용 공간인 /root 디렉토리에 오는 것을 볼 수 있다.
'인프라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 (2) | 2021.11.30 |
---|---|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 (0) | 2021.11.23 |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 (0) | 2021.11.20 |
[21.11.19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와 그룹 (0) | 2021.11.20 |
[21.11.17] 우분투 20.04.3 openssh 서버 설치 E: Unable to correct problems, you have held broken packages. 트러블 슈팅 (0) | 2021.11.17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
2021.11.30 -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
2021.11.23 -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
2021.11.20 -
[21.11.19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와 그룹
[21.11.19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와 그룹
2021.11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