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실습문제.1
1. centos7_server2에서
user01 user02 user03 user04 user05 계정을 생성하세요
user01 과 user02 계정만 cal 명령어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세요.
레드햇 리눅스는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지만 다른 배포판에서는 생성되지 않으므로 이 옵션을 지정해야 한다. 보통 -k 옵션과 같이 사용하여 사용자 생성 시 기본적으로 부여되는 목록이 들어있는 skeldir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.
# useradd -m user01
# useradd -m user02
# useradd -m user03
# useradd -m user04
# useradd -m user05
'cal'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하려면 'sudoers' 파일을 편집하여 설정해야 합니다. 'sudoers' 파일은 'visudo'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아래는 'user01'과 'user02'에게 'cal'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예제입니다.
# sudo chmod o-x /usr/bin/cal
'visudo'를 사용해서 'sudoers' 파일을 편집합니다.
# sudo visudo
sudoers 파일 내 작성
user01 ALL=(ALL:ALL) /usr/bin/cal
user02 ALL=(ALL:ALL) /usr/bin/cal
하지만 이와 같은 관리자 설정을 하면
cal은 되지 않으며, sudo cal만 된다.
user01과 user02가 cal만 치면 달력이 나오는 방법은?
user01, user02의 부그룹을 root로 추가시킨다.
[root@server2 etc]# sudo usermod -aG root user02
[root@server2 etc]# sudo usermod -aG root user01
# su - user01로 접속하여 cal 명령을 치면 잘 동작된다.
반면
# su - user03으로 접속하여 cal 명령을 치면 동작되지 않는다.
'인프라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 (2) | 2021.11.30 |
---|---|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 (0) | 2021.11.23 |
[21.11.21] 우분투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고찰 (0) | 2021.11.21 |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 (0) | 2021.11.20 |
[21.11.19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와 그룹 (0) | 2021.11.20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
[21.11.30] 우분투 리눅스 LTS20.04 특수권한(setUID, setGID)
2021.11.30 -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
[21.11.23] 리눅스 허가권과 소유권
2021.11.23 -
[21.11.21] 우분투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고찰
[21.11.21] 우분투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고찰
2021.11.21 -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
[21.11.20] 우분투 리눅스 20.04LTS 사용자 && 그룹 관리 - 2
2021.11.20